반응형 한글맞춤법 #맞춤법1 블로그하다 보니 궁금한 내가 자주 틀리는 한글 맞춤법 블로그 글을 쓰고 나면 맞춤법 검사를 돌리고, 퇴고하고 하다 보니 처음부터 안 틀리면 되지 않을까? 해서 맞춤법에 대해 찾아보았는데요. 직업도 편집디자이너고 해서 직업병 같은 게 생겼습니다. 대화할 때야 머 서로 알아듣기만 하면 되지만 글을 쓰다 보니 조금 더 정확한 게 좋지 않겠습니까? 한글 자음과 모음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글자의 개수는 총 11,172자 라고 합니다. 단순 조합이 그렇고 각각 조합해서 만들어 낼 수 있는 단어는 한계가 없을 것 같습니다. 카톡 메시지에 맞춤법 틀리는 사람에게 호감이 떨어지는 사람도 있다고 하니 기본적으로 한국인이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의 정확한 표기 방법을 알아두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. 1. 되 / 돼 한국인이라면 어느 정도 익숙한 부분이 있습니다. 되 ▶ 하 돼.. 2022. 8. 21. 이전 1 다음 반응형